본문 바로가기
간호사가 알려주는 건강정보

비급여 진료 항목 공개 2화-초음파 비용 병원에 꼭 문의 하세요!

by horeang0806 2025. 6. 30.
728x90
반응형

 

 

초음파 검사, 보험이 된다던데 왜 병원마다 돈이 이렇게 다르죠?

검사를 받아본 분들이라면 한 번쯤 이런 경험 있으셨을 거예요.
같은 복부 초음파인데 어떤 병원에서는 3만 원,
다른 병원에서는 10만 원을 넘게 받는 일이요.
물론 의사도 다르고 병원도 다르니 조금씩 가격이 차이 날 수는 있지만
차이가 너무 크면 의심이 들 수밖에 없죠.

그래서 정부에서는 일정 기준을 마련해
비급여 초음파 검사의 가격을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공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정보를 직접 찾아보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왜냐면 어렵고,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죠.

 

● 초음파가 원래 보험이 안 되는 거였나요?

 

예전에는 대부분 보험이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몇 해 전부터 정부에서 “자주 쓰이고, 꼭 필요한 검사”는
조건부로 건강보험을 적용하도록 점차 확대하고 있어요.

예를 들면, 이런 기준이 있어요.

구분건강보험 적용 여부

 

증상이 분명하고, 진단 목적 보험 적용 가능
건강검진, 개인 확인 목적 보험 적용 불가 (비급여)
의사가 병명을 입력하고, 검사 필요성 설명한 경우 일부 급여 가능
 

즉, 아무 증상도 없는데 초음파를 해보자고 하면 보험이 안 되고,
통증이나 이상 증상이 있어서 검사가 필요한 경우는 보험 적용이 가능합니다.

 

 

● 자주 하는 초음파 검사와 가격 차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공개한 자료를 기준으로,
초음파는 부위, 목적, 병원 종류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아요.

검사 부위평균 금액병원에 따라 변동폭

 

 

복부 초음파 5~8만 원 3만 ~ 15만 원
심장 초음파 12~15만 원 8만 ~ 20만 원
유방 초음파 6~10만 원 5만 ~ 18만 원
경동맥 초음파 7~12만 원 6만 ~ 18만 원
근골격계 초음파 4~9만 원 2만 ~ 13만 원
 

※ 대학병원 > 종합병원 > 개인의원 순으로 평균 가격이 높은 편입니다.


● 왜 같은 검사인데 가격이 이렇게 다를까?

  • 사용하는 장비의 차이
  • 검사 시간을 얼마나 들이는지
  • 전문의가 직접 보는지 여부
  • 병원의 진료 철학, 진단 방식
  • 의사가 직접 판독하는지, 기계 해석인지에 따라

하지만 일반 환자 입장에서는 이런 걸 알기 어렵고,
결국 “검색해서 비교”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보건복지부와 심사평가원에서는
매년 병·의원의 비급여 초음파 가격을 조사해서 공개하고 있어요.
하지만 이 정보는 일부러 찾지 않으면 잘 안 보입니다.
검색창에 “병원별 초음파 가격 비교”라고 쳐도 원하는 정보가 바로 안 나오죠.


● 병원에서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가장 좋은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진료 전에 반드시 물어보는 것

“이 초음파 검사는 보험이 적용되나요?
만약 비급여라면 비용은 얼마나 나오나요?”

 

진단명을 확인한 뒤 보험 적용 요청하기
→ “진단 목적이라면 보험 적용 가능한 걸로 알고 있는데요.
병명 입력해서 보험 청구해주실 수 있나요?”

이렇게 직접 물어보는 게 당연한 시대입니다.
병원 입장에서도 환자가 묻지 않으면 그냥 비급여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환자 입장에서 중요한 포인트 3가지

  1. 의사의 설명을 꼭 듣고 동의한 뒤 검사받기
    → 초음파는 비급여일 경우 비용이 꽤 큽니다.
    → “설명 듣고 선택”하는 게 원칙이에요.
  2. 진료비 영수증에서 ‘비급여 항목’ 확인하기
    → 검사 후 비급여로 나왔다면, 다음번엔 보험 적용 가능한 방법을 의논해보세요.
  3. 동네 병원에서도 보험 적용 초음파가 가능할 수 있음
    → 꼭 큰 병원이 아니어도, 의사의 판단과 진단명이 있다면 적용 가능합니다.

● 마무리 이야기

초음파 검사는 이제 흔한 검사지만,
여전히 비용 차이가 크고 정보 접근성이 낮은 분야입니다.
내가 받는 검사가 보험이 되는지 안 되는지,
비급여라면 얼마인지,
이건 누가 알려주지 않으면 모르고 지나가기 쉽습니다.

조금 귀찮더라도 진료 전에 물어보고, 확인하고, 비교하는 습관
이게 결국 나중에 큰 돈 아끼는 지름길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