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엄마가 된 간호사 (열세살,아홉살의 내아이들)

수능 보기 전에도 걸릴 수 있는 수두! 이렇게 예방,치료 해요

by horeang0806 2025. 7. 12.
728x90
반응형

제가 6월 모평을 준비하던 시절, 야자시간에 배가 간지러워 쳐다보니 배에 수포가 생겨서 한개를 터트렸어요.

다음 날 부터 열이 펄펄 나기 시작하더니 온 몸에 수포가 생겼어요 .

진단은 수두, 저는 6평 모의고사는 커녕 7월까지 학교도 가지 못하고 수능 100일을 남기고 우울증에 걸렸어요

온몸 뿐만 아니라 여드름도 나지 않던 제 얼굴에도 수포로 가득 찼었거든요 

이렇듯 수두는 누구에게나 언제나 올 수 있는 질병이에요

제가 아이를 키워보니 수두는 가볍게 2번 걸리기도 해요 정확한 진단과 예방, 그리고 6학년 전에 수두 예방접종을 한 번 더 하는 것 또한 저처럼 어른이 되어 수두에 걸리지 않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수두(Varicella)의 기전 및 치료방법

 


1. 수두란?

수두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발진성 질환입니다.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며, 고열과 함께 전신에 소양감이 동반된 수포성 발진이 특징입니다.

 

2.병태생리(기전, Pathophysiology)

감염 경로

  • 공기 전파(Aerosol):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를 통해
  • 접촉 전파(Contact): 수포의 액체에 직접 접촉 시

 바이러스 침입 과정

  1. **상기도(코, 인후 등)**를 통해 바이러스가 침입
  2. 림프절에서 증식 후, 1차 바이러스혈증(Viremia) 발생
  3. 간, 비장, 폐 등 장기에서 추가 증식
  4. 2차 바이러스혈증을 통해 피부 및 점막으로 확산
  5. 피부에서 소수포 → 농포 → 가피 형성의 전형적인 병변이 발생

잠복기: 10~21일 (보통 14일)

전염력: 증상 발생 12일 전부터, 모든 수포가 가피로 아물 때 까지 (약 57일간)

 

3. 임상 증상 (Clinical Features)

증상내용
초기 증상 발열, 피로, 식욕저하, 두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
피부 병변 붉은 반점(홍반) → 구진 → 수포 → 농포 → 가피
특징적 발진 몸통에서 시작해 얼굴, 팔다리 순으로 퍼짐
가려움증 매우 심함, 2차 감염 위험 증가
 

4. 치료 방법 (Treatment)

일반적 대증 치료 (대부분의 소아)

 

치료 방법 설명
해열제 사용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사용. ❌ 아스피린 금지 → 라이 증후군 위험
가려움 완화 항히스타민제(예: 클로르페니라민), 칼라민 로션
피부 관리 손톱 짧게, 긁지 않도록 관리. 2차 감염 예방 위해 위생 철저
수분 공급 열과 식욕저하로 인한 탈수 예방 중요
학교/보육시설 격리 모든 수포가 가피로 덮일 때까지 자택 격리 권장 (대개 5~7일 이상)
 

2) 항바이러스제 치료 (특정 고위험군)

  • Acyclovir (아시클로버) 사용:
    • 발병 24시간 이내 복용 시 증상 및 합병증 감소
    • 대상:
      • 13세 이상 청소년·성인
      • 만성 피부질환(아토피)
      • 면역저하자
      • 스테로이드 복용 중인 아동
      • 폐렴, 뇌염 등 합병증 의심 시

5. 🛡 예방 (Prevention)

1) 백신 접종

  • 수두 백신(Varicella Vaccine): 생백신
  • 국가필수예방접종(NIP) 대상
    • 생후 12~15개월에 1회 접종
    • 일부 국가(미국 등)는 4~6세 추가접종으로 2회 접종
  • 면역력이 없는 고위험군은 노출 후 72시간 이내 아시클로버 또는 면역글로불린(VZIG) 투여 고려

6. ⚠ 합병증

합병증설명
2차 세균 감염 수포를 긁으면서 포도상구균 또는 연쇄상구균 감염 가능
폐렴 특히 성인 수두 환자에서 흔함
뇌염 드물지만 심각한 합병증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잠복해 있다가 수년 뒤 대상포진으로 재활성화 가능
 

요약 포인트

  • 수두는 VZV에 의한 고전적 발진성 감염병으로, 피부 수포와 고열이 특징
  • 대부분 자연적으로 호전되나, 가려움 완화와 위생 관리 중요
  • 고위험군은 항바이러스제 사용 필요
  • 백신 접종으로 예방 가능하며, 전염력이 강하므로 격리 필요
728x90
반응형